전체 글(2433)
-
스마트 전기 플러그 Switch (스위치)
그동안 스마트 전기 플러그는 여러 회사의 제품을 다룬 적이 있습니다. Zuli나 Wemo, 그리고 탈부착이 가능한 스위치를 동반한 Avi-On까지 말이죠. 이번 CES2015에는 정말 많은 회사들이 차세대 스마트 제품, 사물인터넷 기기들을 선보이면서 여러 제품들이 소개가 되고 있는데, iDevices의 Switch(스위치)는 스마트홈 구축을 위한 애플의 스마트홈 지원 기술(HomeKit)을 잘 응용했습니다. 소개 영상을 보니 음성비서 시리와도 연동 되고, 앱을 통해 집안에 연결된 각각의 전기(전자제품)를 원격으로 관리 할 수 있군요. Switch © iDevices 딱히 새롭지는 않지만 깔끔한 디자인이 돋보이고, iOS의 홈킷(Homekit)을 통해 시리와 연동이 된다는 점이 해외 유저들에게는 편리해 보..
2015.01.07 -
스마트 도어락 키보 (Kevo Plus) : 집열쇠 없이 주인만 문을 열 수 있는 도어락
스마트 도어락은 August Smart Lock를 소개해드린 적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블루투스 기술을 통해 주인, 또는 허락된 사람이 도어락을 만지기만 하면 열리는 스마트 도어락 Kevo가 눈에 들어오더군요. Kwikset사는 Works with nest와 연동되는 스마트 도어락 Kevo Plus 신제품을 CES 2015에서 공개하기도 했습니다. 수년전에 출시된 제품이지만 일단 Kevo 스마트 도어락에 기본적인 작동방식을 살펴보면 편리한 점이 많습니다. 스마트폰 앱과 블루투스가 연동되어 주인이나 가족 구성원이 만지면 바로 열리게 설정할 수 있죠. 자녀에게 스마트폰이 없다면 키 태그를 따로 구입해서 소지하면 같은 역할을 합니다. 유사시에는 열쇠로 잠긴 문을 열 수 있고, 혹 친구가 집을 방문하는데 늦게 도..
2015.01.07 -
스마트홈 플랫폼 네스트(Nest) : Works with Nest
홈 오토메이션(자동화, 스마트 홈)은 스마트 홈과 사물인터넷이라는 용어가 활성화 되기 이전부터 있던 개념입니다. 1990년대 초기에도 집밖에서 전화를 걸어 집에 있는 전등을 소등하거나, 가스레인지나 불을 끄는 기술은 이미 실현가능했습니다. 단지 플랫폼이라고 불리울 만한 것이 없었을 뿐이죠. 스마트폰과 모바일OS가 매개체가 세상을 급변하게 만들었을 뿐, 우리가 새로운 '혁신'이라고 부르는 대다수의 기술이 이미 몇년 전부터 연구가 진행된 결과일 때가 많습니다. 스마트 홈 분야도 그렇습니다. 스마트 홈의 핵심이 다른 기기와의 '연결'이 되는 플랫폼에 있고, 그 다음으로 필수적인 요소는 핵심 매개체를 통한 '데이터의 수집'입니다. 그런 면에서 자동 온도 조절기로 불리우는 Nest(네스트)는 가장 발전적이면서도 ..
2015.01.07 -
그리핀(Griffin) 아이폰 충전기, 아이패드 충전 거치대
애플 iOS관련 주변기기를 만드는 업체로 국내에는 Belkin(벨킨)이 잘 알려져 있지만 이외에도 인케이스(incase), 타거스(Targus)등 여러 업체가 있습니다. 저도 가끔 시제품을 받아서 리뷰를 하곤 했는데요 ^^ 이번에는 그리핀(Griffin)에서 CES2015에 참가하며 재밌는 iOS 충전 전용 제품들을 선보였더군요. 먼저 iOS기기를 한번에 3개까지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Power Block이 있습니다. 아이패드와 아이폰, 아이팟을 한꺼번에 충전하란 뜻이겠죠? 새로 나오는 12인치 맥북에어도 USB로 충전하라는 루머가 있으니... 잘하면 맥북에어, 아이폰, 아이패드를 충전할 수 있는 3port 충전기가 되겠군요 :) Power Block © Griffin 그 다음으로는 전기 아울렛 콘센트..
2015.01.06 -
애플 에어플레이 (AirPlay) 대신 구글 캐스트 오디오 (Google Cast now for Audio), 와이파이 클라우드 스피커 시대
사물인터넷(IoT)은 조금씩 영역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음악을 듣는 오디오(음향기기)에도 예외가 아닌데요. 예전 카세트 테잎으로 음악을 듣던 시절이나 MD, 음악 CD의 추억은 이제 희미해져서... MP3파일을 재생하는 유저들도 점차적으로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제 음악 '스트리밍 시대'가 도래한 것이죠 ^^ MP3파일을 구입하거나 다운로드 받아서 음악을 들을 때에는 저장된 MP3, 아이폰, 아이팟 도킹 스피커가 한 때 유행을 했지만... 이제 블루투스 기술 무선 스피커를 넘어서 클라우드 스피커가 하나씩 놓일때가 된 것 같네요. 구글 캐스트 오디오 © Google 구글은 Google Cast Audio라는 음악 캐스팅 기술 방식을 2015년 1월 5일 발표했습니다. 해외에서는 애플의 AirPlay를 지원하..
2015.01.06 -
마젤란 스마트워치 에코 핏 (Echo Fit) 스포츠 웨어러블 시계
IT회사들이 시계시장에 뛰어들었다면 전통 시계업체들도 반격을 서슴치 않고 있습니다. 이번에 소개해볼 웨어러블 스마트워치는 GPS 제품을 만드는 기업인 마젤란(Magellan)도 Echo 시리즈입니다. 마젤란이 스마트워치 시장에 진출한지는 꽤 되어보이는데... 이중 마젤란이 내놓은 스마트워치 에코 핏(Echo Fit)이 주목을 받고 있네요. 에코 핏(Echo Fit) 스마트 워치는 배터리 충전식이 아니라 수은전지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6개월동안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마젤란 스마트워치 에코 핏 © Magellan GPS Echo Fit(에코 핏) 스마트워치는 이름에 걸맞게 스포츠를 즐기는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유저들에게 초점을 맞췄습니다. 블루투스 기술로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헬스케어 데이터를 모니..
2015.01.06 -
알카텔 원터치 스마트워치 : Alcatel Onetouch Watch
알카텔 원터치 (Alcatel OneTouch)가 선보인 스마트워치는 깔끔한 디자인과 개념잡힌 가격대로 전세계 시계 매니아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키 충분했습니다. 아무래도 시계 매니아라면 원형 디자인에 끌리기 마련인데요. 스마트워치가 태동하던 시기에 모토로라 360과 LG G워치R이 주목을 받은 이유는 그다지 괴상하지 않고 익숙한 시계 디자인을 갖추었기 때문이 아닌가 싶군요. 옆에서 얼핏 봤을 때 이상하지 않아야 '전자팔찌'의 오해를 벗어날 수 있을 테니까요. 알카텔 원터치 스마트워치 'Watch' © Alcatelonetouch 애플 워치(Apple Watch)처럼 시계줄 스트랩을 교체할 수 있으며, 종류는 모두 4가지라고 하네요. 가격은 약 200$, 이 정도면 꽤 접근성이 좋은 가격대라 할 수 있겠습..
2015.01.06 -
알카텔(Alcatel) PIXI3, 멀티OS 지원되는 스마트폰
중국산 스마트폰 뉴스가 매우 활발하게 IT뉴스의 헤드라인을 장식하고 있다. 화웨이(Huawei)와 샤오미(Xiaomi)가 가장 잘 알려졌지만, 노트북 브랜드로 익숙한 레노보(Lenovo)도 스마트폰 제품을 만들고 있고, 최근 웨어러블 스마트워치로 주목을 받은 알카텔(Alcatel-OneTouch)도 있다. 알카텔(Alcate)은 중국의 국영기업인 TCL에 뿌리를 두고 있다. CES2015에서 공개한 알카텔의 PIXI 3 시리즈는 3개의 모바일 OS를 전환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OS, 파이어폭스 OS, 그리고 윈도우 모바일을 돌릴 수 있는 멀티OS 스마트폰인 셈. Alcatel PIXI 3 Series © Alcatel Onetouch 화면크기는 3.5인치, 4인치, 4.5인치, 5인치로 4가지나 된다...
2015.01.06 -
삼성전자, 휴대용 1TB SSD 제품 출시 (SSD T1)
삼성전자 CES2015 (라스베가스에서 매년 열리는 소비자가전쇼)에서 1tb용량의 SSD 저장장치를 선보였다. SSD는 메모리타입의 저장장치로 기존 컴퓨터 시장에 널리 보급되어 있던 하드디스크(HDD)보다 빠른 속도, 무소음 등 장점이 많기에 조금씩 HDD 시장을 잠식해왔다. 다만 기술적으로 고가이기 때문에 그동안 128~256gb 모델이 주력상품으로 유통되어 왔다. 그런점에서 이번에 공개된 삼성전자의 1TB 휴대용 SSD T1는 휴대용 SSD 저장장치의 전성기를 개막하는 이정표가 될 수 있다. 물론 가격이 합리적이어야 소비자 접근성이 높을 테지만 말이다. SSD T1 © Samsungtomorrow SSD T1 © Samsung 휴대용 SSD 제품은 그동안 대기 수요가 있었던 만큼, 삼성전자의 Port..
2015.01.06 -
하드디스크도 진화한다? 7mm 하드 시게이트 세븐 (Seagate Seven), 무선 하드디스크 (Seagate Wireless)
시게이트(Seagate)는 WD(웨스턴디지털)과 함께 하드디스크 브랜드로 매우 익숙한 제조업체이다. 물론 가끔 이슈가 발생해 뭇 유저들에게는 '헬게이트'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2011년 말 삼성전자는 HDD사업부를 시게이트에 판매했는데, 이는 SSD 기술이 발전하고 시장이 커지면서 HDD는 침체될 것이라 전문가들의 분석을 따른 것일지도 모른다. 어찌되었든... 시게이트(Seagate)는 7mm라는 초박형 두께의 신제품을 공개했다. 이름하여 시게이트 세븐. 시게이트 세븐, 가장 얇은 하드디스크 시게이트 세븐 하드디스크 © Seagate 용량은 500gb지만, 시게이트 세븐 (Seagate Seven)은 세상에서 가장 얇은 하드디스크란 수식어가 붙게 되었다. USB 3,0 케이블로 연결이 가능하고..
2015.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