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23)
-
부동산 담보형 펀드 소액투자 후기 : 탱커펀드 조기상환건, 루프펀딩
부동산 담보형 P2P 채권 펀드는 국내에 테라펀딩, 투게더, 탱커펀드, 루프펀딩 등 이외에도 여러 사이트가 있는데요. 그 중 제가 선택한 부동산형 P2P 투자 서비스는 탱커펀드와 루프펀딩입니다. 탱커펀드는 소액으로도 투자가 가능해서 지난 7월 19일에 인천 주안동 투자상품에 8만원을 투자해 두었었는데요. 오늘 아래와 같이 조기상환이 이루어졌습니다. 원래대로라면 8개월 뒤인 2017년 2월에 약 12%의 세후 이자수익이 균등상환되는 방식이었는데요. 조기상환이 된 이유는 장문의 문자로 전달되었습니다. 내용을 요약하면 아쉽게도(?) 대출자의 저축은행 대출로 인해 조기변제되었다고 하네요. 어찌되었든 이자는 일할 계산이 되어 세금 10원, 이자 61원을 받았습니다. 8만원 투자에서 일주일만에 51원 벌었어요! :..
2016.07.28 -
신용등급 무료 조회 서비스, NICE 지키미
신용등급을 조회하면 내 신용 등급이 내려갈 수 있다는 말, 이제 다 옛말입니다. ^^ 전국민 무료 신용조회 서비스가 있으니까요. 혹 아직 자신의 신용등급을 모르고 있다면 연초에 한번씩은 확인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재무설계나 대출 계획 및 금융 자본을 관리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죠. 저 역시 이번에 거의 처음으로 내 무료 신용조회를 해보았는데요. 가장 쉽게 할 수 있는 사이트는 Nice 지키미 (www.credit.co.kr) 입니다. 먼저 아래와 같이 회원가입을 해야 합니다. :: Nice 지키미 전국민 무료 신용조회 사이트 바로가기 :: NICE 지키미 사이트에 처음 접속하면 상된 왼쪽에 '회원가입' 버튼을 눌러 개인정보입력 및 본인인증 과정을 거쳐 회원가입을 완료합니다. 약 3~5분 정도 걸리는 ..
2016.07.20 -
P2P 대출 P2P 투자 시작해볼까? : 렌딧(Lendit) 어니스트펀드 탱커펀드 회원가입 하는 법 (크라우드펀딩)
P2P 대출, P2P 투자라고 들어보셨나요? P2P라고 하면 토렌트(Torrent)같은 파일 공유를 가장 먼저 떠올리실 수도 있는데요. P2P 투자는 일종의 크라우드펀딩으로 금융기관의 대출 서비스와는 달리, 여러 사람이 모은 돈을 자금이 필요한 사람에게 빌려주고 (투자) 원금과 이자를 상환 받는 형태로 운영되는 채권 투자 상품을 말합니다. 국내에서는 조금 생소한 개념일 수도 있지만 해외에서는 꽤 오래전부터 P2P 투자가 이루어졌는데요.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1.25%로 저금리 시대에 접어둔 요즘, P2P 투자는 약 6~10%의 수익을 챙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P2P 투자의 단점은 뭘까요? 바로 국내에서는 대부업에 해당되기 때문에 수익금에 대해 비영업대금 소득세(27.5%)가 원천징수 된다..
2016.07.19 -
소프트뱅크(Softbank) 손정의, 사물인터넷 모바일 핵심기술업체인 ARM 인수
손정의(손마사요시)가 이끄는 일본 기업 소프트뱅크(Softbank)는 영국의 반도체 회사인 ARM 홀딩스를 약 35조원(234억 파운드)에 인수했다. 핀란드 초일류 게임기업으로 성장한 슈퍼셀(Supercell)을 중국 기업인 텐센트(Tencent)에 86억 달러 (약 10조원)에 매각한 이후, 손정의의 다음 투자 인수대상으로 ARM이 선정된 것이다. 234억 파운드는 ARM의 현 가치에 상당한 프리미엄이 붙은 금액지만, 최근 브렉시트(Brexit)의 영향으로 엔화가치가 올라가고 영국 파운드 가치가 하락한 시점에서 ARM 인수는 그야말로 매력적인 타이밍이 아닐 수 없다. 손정의는 최근 인공지능 AI, 사물인터넷, 로봇 분야에 욕심이 생겨 미리 예고해두었던 은퇴를 미루고 싶다고 공언한 바 있다. 거의 모든 ..
2016.07.18 -
직장인 절반은 대출 빚 갚는 중
얼마전 '2016 서울 서베이 지표조사'에 따르면 서울시 전체가구의 48.4%가 빚내어 살고 있다는 기사를 쓴 적이 있는데요. 잡코리아가 약 1000명의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가계경제 현황'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습니다. 직장인 45.2%가 대출을 받아 빚지고 살고 있고, 특히 미혼 직장인보다 기혼 직장인들이 더 많은 62.2%로 집계되었다는 것이죠. ▲ 직장인 45.2%는 빚지고 살고 있다 © Jobkorea 예상하셨겠지만 대출을 받게 된 사유로 가장 많이 제시된 이유는 내집마련(68%) 입니다. 생활비 때문에 빚을 진 사람들은 15.1%에 달하네요. 그리고 이미 진 빚을 갚기 위해 돌려막기용 대출을 추가로 받은 적이 있는가에 대한 대답에서는 36.9%가 그런 경험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약 1..
2016.07.18 -
외국인이 생활하기 가장 비싼 도시는?
외국인이 생활하기에 가장 비싼 도시는 어디일까요? 머서(mercer)의 2016년 리서치 결과에 따르면, 1위는 홍콩(Hong Kong)입니다. 작년에 1위였던 아프리카 앙골라의 루안다는 2위로 내려왔습니다. 3위는 유럽인 스위스, 4위는 싱가포르, 5위는 도쿄네요. ^^ 외국인이 살기 가장 비싼 도시는? 2016 Cost of Living Rankgins © mercer 이쯤되면 서울은 몇위일지 궁금해지는데요. 한국 서울은 15위라고 합니다. (참고로 2015년에는 8위였습니다) 머서(mercer)의 생활비 물가 조사는 해외주재원들을 위한 자료로 쓰여지는데요. 직원을 해외근무 파견을 보내게 되면 이 자료를 토대로 생활비나 보상을 적절하게 지원해주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고 하는군요. ▲ 커피 한잔 가격..
2016.06.26 -
대출이자계산기 추천
살다보면 대출을 받아야 할 때가 있습니다. 요즘은 전세값이 매우 올라서 전세계약보다는 집을 구입하기 위해서 대출을 받는 분들을 많이 볼 수 있는데요. 디딤돌 대출이나, 은행에서 대출상담을 받아보면 한눈에 참고할 수 있는 대출계산기를 뚜드려 보고 싶어지죠 ^^ 1억원을 빌리면 도대체 이자는 한달에 얼마씩 내고, 원리금상환은 어떻게 되는 것인지 알고 싶다면 아래의 대출이자계산기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 best79 대출이자계산기 바로가기 :: 사용방법은 간단합니다. 위에 사이트에서 대출금 (빌릴 돈) 총액을 기입하고, 대출금리와 기간, 상환방법 (원리금균등상환, 원금균등상환, 원금만기일시상환)을 고른 뒤 '계산하기'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총이자가 얼마인지, 매달 상환금과 납입원금은 ..
2016.06.26 -
2015년 새해달라지는 것 중 가장 마음에드는 건 음식점 내 흡연금지 (금연)
담배값 인상 때문에 말이 많습니다. 저는 비흡연가라서 담배 가격이 얼마인지도 모르지만, 2015년 1월 1일 부터 2000원이 인상된다는군요. 이로써 흡연하는 분들이 많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런데 비흡연가에게 더 좋은 소식은 음식점 실내에서 금연이 적용된다는 것입니다. 법으로 규제가 만들어진 만큼, 이제 실내에서 담배연기를 맡아야 하는 일은 없어지겠죠. 엔제리너스 커피나... 커피빈 등 흡연실로 되어 있는 카페 프렌차이즈가 많았는데... 아무리 유리칸으로 막아놔도 냄새를 100% 차단할 수 없지요. 그래서 흡연석에서 흘러나오는 냄새 때문에 간접흡연을 참아내야 했던 기억이 있는데... 이제 카페든 음식점이든 금연 조치가 되면서 흡연공간이 없어진다고 하니 다행입니다. 스타벅스는 본사 방침으로 처음부..
2015.01.01 -
저물가시대? 각 나라 도시 물가를 비교해볼 수 있는 Cost of Living (전세계 국가 생활비 비교)
요즘 경제 뉴스를 읽다보면 '저물가시대'라고 합니다. 물가상승률이 1.3%대라고 하는군요. 글쎄요. 물가가 오르는 것만 기억하기 때문일까요? 아니면 오를때는 확 오르고, 내리는 경우는 정말 찾아보기 힘들어서 그럴까요. 체감 물가는 '저물가'라기 보다 이미 너무 높아진 물가 때문에 큰 변화가 없는 것 같습니다. 쉽게 말하자면 '월급'은 그대로이고 다른 것들은 계속 오르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소득이 늘어야 경제가 살아날텐데 말이죠. 이런 상황에서 기업은 정규직 일자리는 늘리지 않고, 쓰고 버릴 수 있는 아웃소싱만 극대화 하는... 이른바 비정규직 양산 체제를 고집하고 있습니다. 정부도 비정규직을 오히려 장려하는 이상한(?) 방침들로 한몫하고 있더군요. 장그래 법이라고... 웹툰 드라마 제목처럼 평생..
2015.01.01 -
2015년 정말 간단한 재테크 전략
시간이 날 때마다 재테크 관련 서적을 탐독하고 있습니다. 전직 은행원이 쓴 책부터 전문 재무설계직이 저술한 책, 주식 전문가가 펴낸 도서부터 월급쟁이로 부자되는 실전 노하우가 소개된 책 등등 다양한 책들이 있는데, 대부분 공통적인 내용들이 반복되더군요. 사실상 부자가 되는 '재테크 전략'에는 커다란 차이가 없어보입니다. 진리는 '많이 벌고, 적게 써라'죠 ^^ 사실 그 이외에는 많은 부분 Risk Taking일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반복되는 재테크 전략을 간략하게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TaxCredit 1. 월급(수입)이 들어오면 먼저 저축하고, 남은 돈을 써라. 적어도 수입의 50%을 저축하라. 2. 통장을 쪼개라. (목적별로 통장을 나눠서 돈을 관리하라) 3. 중요한 것은 계획성있게..
2014.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