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21)
-
소니 FE 50mm F1.4 칼자이쓰 렌즈 공개
한때 바디왕국으로 불리우던 소니(Sony)가 드디어 렌즈군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듯 보인다. 소니 풀프레임 미러리스 유저들이 기다리고 있던 e마운트 칼자이쓰 FE (풀프레임) 50mm F1.4ZA를 공개했기 때문. 칼자이쓰 FE 55mm F1.8에 만족하지 못한 유저들이라면 이번에 출시될 FE 50mm F1.4ZA에 기대를 걸어보자. Sony Planar T* FE 50mm F1.4 ZA © DPreview ▲ 소니 알파7R에 칼자이쓰 플라나 FE 50mm F1.4 ZA 렌즈를 장착한 모습 © DPreview 아래는 DPreview에서 공개한 소니 FE Planar T* FE 50mm F1.4 ZA 렌즈로 촬영한 샘플 사진들이다. 원본 사진은 해당 사이트에서 RAW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감상해볼 수 있으..
2016.07.12 -
갤럭시노트7 듀얼엣지 유리 부품 유출 사진, 홍채인식 확정! 플랫버전은?
갤럭시노트7의 공개 시점이 가까워져오면서 점점 확정(?)으로 확인된 루머들이 많아지고 있다. 아래는 전문 IT기기 유출 트위터 계정을 통해 공개된 갤럭시노트7으로 추정되는 전면부 부품 사진이다. 사진을 보면 측면부분이 곡면으로 처리된 듀얼 엣지 스크린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Galaxy Note 7? © Twitter Onleaks 듀얼 엣지 스크린으로 출시된 갤럭시S7 엣지와는 크기가 다르고, 상단부 센서 홈이 여러개로 늘어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삼성이 오랫동안 준비해온 생체인식 보안기능 중 하나인 '홍채인식' 센서는 당연히 전면에 배치되어야 제 기능을 할 수 있기에... 이를 토대로 삼성 갤럭시노트7에 홍채인식 기능이 들어갈 것이란 주장이 거의 확정된 사실로 굳어지고 있는 상태다. 한편 ..
2016.07.01 -
갤럭시S7 vs 아이폰SE 카메라 사진 화질 비교
지금 저는 아이폰SE를 메인 스마트폰으로 사용 중입니다. 이번주에 소셜 모임이 있어 코엑스 몰(Coex Mall)을 방문했는데, 항상 그렇듯 메가박스 앞에는 삼성 모바일 기기 체험 부스가 설치되어 있더군요. 이번에는 갤럭시S7 였습니다. 아시다시피 갤럭시S7은 기존 스마트폰 카메라의 화질에서 거의 정점을 찍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데요. 부스에 '직접 촬영해서 비교해보세요' 라고 쓰여져 있길래 정말 직접 촬영해서 비교해보았습니다. 딱 한장만 말이죠 :) 둘다 원본으로 공개해봅니다. 갤럭시S7으로 촬영한 사진 아이폰SE로 촬영한 사진 100% 크롭 비교? 저는 당연히 갤럭시S7으로 촬영한 사진이 압도적으로 좋을 줄 알았는데... 이렇게 비교해보니 비슷비슷하네요 ^^ ▲ 100% 크롭 이미지 비교 중앙 부분을..
2016.06.01 -
카메라 렌즈교환을 서서 쉽게 할 수 있는 캡쳐렌즈 (Capture Lens) 픽디자인(Peak Design)
렌즈교환식 카메라인 DSLR, 미러리스 카메라 유저라면 한번쯤 원하는 화각의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서서 렌즈를 교체해본 일이 있을 텐데요. 이럴때 가방을 열고, 렌즈를 꺼낸 다음에 이미지센서에 먼지가 들어가지 않게 양손으로 교체할 렌즈를 바꾼다는 것이 여간 힘든 일이 아닙니다. 그래서 잠깐 쭈그러 앉아서 렌즈를 땅바닥에 놓고 렌즈를 교환해본 경험이 있으실 겁니다. Peak Design(픽디자인)의 캡처렌즈(Capture Lens)는 바로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포토그래퍼라면 하나쯤 자신이 사용하는 카메라 기종 마운트에 맞는 Capture Lens (캡쳐렌즈)를 가지고 있는 것도 괜찮겠죠 :) ▲ 허리띠에 착용할 수 있는 캡처렌즈 (Capture Lens) ⓒ Peakdesign 저는 지..
2016.04.25 -
사진 속 물체의 길이를 알 수 있는 Smart Picture 3D, Google Project Tango
사진 속에 있는 물체나 사물의 길이를 측정하는 기술이 있다고 하면 믿으시겠습니까? ^^ 라이브홈 블로그에서는 스마트 줄자 제품을 소개해드린 적 있는데요. 이번에는 사진 이미지 속의 특정 물체의 길이와 부피를 측정해낼 수 있는, Smart Picture 3D를 소개해봅니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산업디자인, 인테리어, 조경 등 여러가지 분야에 활용될 수 있는 분야이기에 정확도가 올라갈 수록 엄청난 비용 절감이 가능한 매우 흥미로운 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Smart Picutre 3D © Smart Picture Technology 스마트픽처 3D는 촬영된 2D 사진의 원근법을 기반으로 분석하여 물체의 길이를 분석해내는 기술입니다. 가입을 하면 일정기간동안 시험(Trial) 해볼 수도 있는데요. 사진 ..
2016.04.24 -
스마트폰으로 스튜디오급 제품사진과 회전 사진을 찍을 수 있는 Foldio2, Foldio 360 (휴대용 사진 스튜디오)
예전에 스마트폰으로 제품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휴대용 사진 스튜디오 폴디오(Foldio)를 소개해드린 적 있는데요. 이번에는 크기가 더 업그레이드 된 Foldio2, 그리고 360도 회전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Foldio 360을 소개해봅니다. 두 제품 모드 킥스타터(Kickstarter)를 통해 크라우드펀딩을 시도했고, 목표금액을 초과하는 금액을 모금하는데 성공했죠 ^^ Foldio2 Foldio2 ⓒ Orangemonkie 먼저 Foldio2는 쉽게 접어서 휴대할 수 있는 하얀 바탕의 스튜디오 박스입니다. 조립식으로 가지고 다니다가, 원하는 장소에서 네모난 모양으로 만든 뒤 사진 스튜디오로 사용할 수 있죠. 안에는 작은 LED등이 있어서 조명도 완벽하게 연출할 수 있습니다. 하얀 배경과 조명이 잘 ..
2016.02.13 -
사진 속 인물의 표정을 분석해 어떤 감정인지 수치로 알려주는 사이트 MS Emotion Recognition
이미지 인식 기술 (Image Recognition)은 사진에 어떤 물체가 있는지를 분석해서 규명하는 기술이다. 사람에게는 매우 쉬운 일이지만 컴퓨터에게는 매우 복잡한 알고리즘과 엄청난 량의 데이터가 있어야 가능한 기술이다. 구글 포토스(google photos)는 지명이나 일부 물체를 인식해서 검색 결과를 나타내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MS(마이크로소프트)는 프로젝트 옥스퍼트(Project Oxford)를 통해 기존 얼굴 인식에서 더 나아간 사진 속 인물의 표정을 분석해 어떤 감정인지 알려주는 Emotion Recognition API를 공개했다. :: 사진 속 인물의 감정을 파악하는 Emotion Recognition Demo 사이트 :: 사이트에서는 사진 속 인물의 얼굴 표정을 인식한 뒤 Anger..
2016.01.02 -
iOS9 파도 바탕화면 다운로드
WWDC 2015를 통해 공개되었던 iOS9의 기본 바탕화면이 웹에 공개되었다. 사진가 Chris Burkard가 캐리비안 해변에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되는 이 사진의 원본은 이곳에서 구경해 볼 수 있다. iOS9에 공식적으로 사용된 사진 이미지는 아래의 사이트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PNG파일로 되어있고 12mb 용량의 파일이다. :: iOS9 파도 사진 이미지 다운로드 :: via Phonearena 여담으로 iOS와 함께 공개된 Mac OS X El Capitan (엘캐피탄)의 고화질 바탕화면은 이곳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다. [관련글]macOS Sierra (맥 오에스 시에라) & iOS10 배경화면 다운로드
2015.06.12 -
나이를 알려주는 사이트 how-old.net
MS는 자사의 애저(MS Azure) 클라우드 서비스를 시범하기 위해서 사진 속 주인공의 나이를 알려주는 웹서비스를 선보였다. 사이트 주소는 how-old.net 이다. 사이트는 매우 간단하다. 하단에 보이는 Use your own photo 버튼을 누르면 저장되어있는 사진을 업로드해서 테스트 해 볼 수 있다. :: How-old.net 바로가기 :: 참고로 해당 사이트는 스마트폰 (모바일)으로 접속하여 바로 사진을 촬영해 사진 속 사람의 나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실제 나이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재미로만 해보도록하자. [관련글]사진 속 인물의 표정을 분석해 어떤 감정인지 수치로 알려주는 사이트 MS Emotion Recognition
2015.05.19 -
Lyve Home : 가족앨범을 대체할 디지털 사진 관리, 사진 보관 용 스토리지 솔루션
스마트폰에 카메라가 달린 요즘, 사람들은 하루에도 많은 디지털 사진을 촬영하곤 합니다. 이렇게 촬영된 사진을 다 보관하고 관리하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인데요. 물론 SNS나 여타 사진 공유 앱을 사용할 수 있겠지만, 개인 프라이버시를 생각해보면 SNS에 올리는 것이 마냥 마음에 놓이는 것은 아니죠. Lyve Minds사는 집안에 두고 가족들이 촬영한 디지털 사진을 보관(archiving)할 수 있는 기기를 내놓았습니다. 이름하여 Lyve Home, 2TB 내장 용량 가진 이 장치는 집안에 하나 놓고 쓰면 매우 편할 것 같네요. 인터넷 연결이 가능해 페이스북 SNS나 Dropbox같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서 사진을 불러와 저장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습니다. 터치 스크린으로 디지털 액자처럼 작동시킬 수도 있네요...
2015.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