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6)
-
소득세가 왜이리 올랐지? 직장인 결정세액 조회해보기 국세청 홈택스 근로소득 지급명세서
연말정산을 준비하다보니 이런저런 세금에 대한 지식도 쌓여 갑니다.올해 저는 연금저축계좌와 ISA, IRP등을 매우 액티브하게 운용하고 있는데요.작년에 내가 낸 세금이 얼마인지 결정세액이 궁금해져서, 국세청 홈택스에 접속해서 '지급명세서'를 조회해 봤습니다. 위와 같이 국세청 로그인 이후에 '지급명세서'라고 입력하면, 지급명세서 등 제출내역으로 들어가볼 수 있습니다.여러개가 나올 텐데, 여기서 근로소득지급명세서를 보시면 됩니다. 직장인이니까요.그래서 알 수 있게 되는데... 73번 결정세액의 액수가 납부한 세금 입니다. 지방소득세랑 합하면 되죠.으억, 제가 작년에 낸 세금만 540만원이라니... 저도 어느새 나라에 세금을 많이 내는 고액연봉자(?)가 되었군요. :)[관련글]현금영수증 사용내역 조회하는 법
2024.12.04 -
내가 세금을 얼마나 냈지? 알아보는 법, 홈텍스 근로소득 지급명세서 조회 원천징수내역 원천징수영수증
직장인이라면 슬슬 한해 얼마나 세금을 내는지 궁금할 시점입니다. 매년 연말 정산을 꼼꼼하게 계획하시는 분들이라면 미리미리 준비해서 돌려받는 분들이 많을 텐데요. 제 경우에는 연말정산에 대해서 공부를 하다가, 중요한 것은 내가 내야 하는 세금 '결정세액', 그리고 내가 이미 낸 세금 '기납부세액'이 가장 중요한 개념이더라구요 ^^ 왜냐하면 기납부세액에서 결정세액만 가져가고 나머지를 돌려주는게 연말정산에서 돌려받는 금액이기 때문입니다. 처음 이걸 이해하는데 정말 오래 걸린 것 같습니다. 그럼 내가 혹시 작년이나 재작년에 얼마나 세금을 많이 냈는지 알아보고, 올해년도 세액공제 전략을 짜보는 것은 어떨까? 하는 생각에, 내가 낸 세금이 얼마인지 알아보는 방법을 간략하게 정리해봤습니다. 직장인 기준으로, '원천징..
2020.12.22 -
부가세 카드로 납부하기
자영업자라면 매년 부가세를 신고하고 납입을 하게 되는데요. 예전에는 수수료 때문에 계좌이체를 했었는데, 이제는 쿨하게 체크카드, 신용카드로 부가세를 납부하고 있습니다. 수수료율이 체크카드 0.7%, 신용카드 0.8%대로 낮아져서 부담이 덜하고, 네이버페이 체크카드 같은 카드로 납부하면 오히려 조금 더 이익이기 떄문이죠 ^^ 어찌되었든 부가세 신고를 마쳤다면, 부가세 납입을 카드로 하기 위해 홈텍스에 접속합니다. :: 홈택스 바로가기 :: 익숙한 화면이죠? 공인인증서로 로그인을 한 뒤, 신고/납부 아이콘을 클릭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 여기서 왼쪽 중앙 정도에 보이는 '국세납부' -> '자진납부'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 여기서 납부하는 부가세 내역을 모두 입력한 뒤 '납부..
2017.07.23 -
국세청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사용 후기
이맘때쯤 되면 매년 복잡하고 헷갈리는 연말정산을 준비하는 시점인 것 같습니다. 국세청 hometax.go.kr 홈페이지에서도 국세청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페이지로 전환이 되었는데요. 특별할 것은 없고, 그냥 '조회/발급' -> '소득공제 자료 조회' 메뉴를 접속하자 마자 원클릭으로 갈 수 있도록 메인페이지를 바꾸어둔 것입니다. :: 홈택스 홈페이지 바로가기 :: 어찌되었든, 국세청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페이지로 연결이 되면 왼쪽에 있는 '연말정산간소화 공제자료 조회/발급' 바로가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공인인증서로 로그인을 할 수 있죠 ^^ 잘 아시다시피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작업을 해야 하고, 중간에 보안프로그램 설치로 인해 위의 과정을 몇번 반복해야 할 수 있습니다. 어찌되었든 공인인증서 로그인..
2017.01.15 -
소득증명원 발급, 인터넷으로 받는 법
이번에는 소득증명원 인터넷 발급하는 법을 정리해볼까 합니다. 신용카드나 대출서류를 준비하다보면 소득증빙 서류가 필요하게 되는데요. 소득증명서는 간단하게 인터넷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서류를 프린트 할 수 있는 컬러 프린터가 필요합니다. 먼저 아래와 같이 국세청 홈텍스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액티브X 등 보안 프로그램이 작동해야 하니 인터넷 익스플로러 환경에서 진행해야 합니다. :: 홈텍스 웹사이트 바로가기 :: 홈텍스에 접속한 뒤 공인인증서로 로그인 한 다음, 메인 페이지에 보이는 '민원증명'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했다면 한번쯤 브라우저를 껐다가 다시 접속해보세요) ▲ 오른쪽 메뉴에서 '소득금액증명' 메뉴를 클릭 오른쪽 노란색 메뉴를 잘 보면 소득증명원을 뗄 수 있는 '소득..
2016.08.11 -
혼인관계증명서 인터넷발급 방법, 대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사이트 이용하기
지난번에 가족관계증명서를 인터넷으로 발급하는 법, 그리고 무인민원발급기 위치와 사용방법에 대한 정보를 알려드렸는데요 이번에는 인터넷으로 혼인관계증명서를 발급받는 방법을 정리해볼까 합니다. 이번에 국민건강보험 피부양자로 등록하기 위해서 필요한 서류로, 가족관계증명서 이외에도 혼인관계증명서를 떼어 제출하라고 하더군요. 남자는 28세 이상, 여자는 25세 이상이 되면 결혼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피부양자 자동처리가 힘들다고 합니다. 먼저 소개해드렸던 무인 민원발급기에서 가족관계증명서나 혼인관계증명서를 발급 받으면 비용이 500원이지만, 인터넷으로 신청하여 프린트하면 무료로 발급이 가능합니다. 대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 혼인관계증명서 서류 인터넷 발급 인터넷으로 민원서류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미리 준비해야..
2016.05.04